이어산 시인, "좋은 시인이란 보편적 상식 가진 선한 사람"
이어산 시인, "좋은 시인이란 보편적 상식 가진 선한 사람"
  • 뉴스N제주
  • 승인 2020.02.14 23:38
  • 댓글 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어산칼럼(73)토요 詩 창작 강좌
이어산 시인, 평론가

■토요 시 창작 강좌(73)

□약간의 난이도가 있는 시를 쓰자

사진 이어산=대나무 봉황, 그 뻣뻣한.
사진 이어산=대나무 봉황, 그 뻣뻣한.

시란 본디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 이루어진 갈래다.

세상은 옛날에 비하면 광속으로 변하고 있고 발전이라는 말은 더 나은 쪽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시와 시인도 더 좋은 쪽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결국 도태되고 말 것이다.

시가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는 사람의 삶을 아름답게 하고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를 쓰는 사람들이 좋은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 <생명시운동>의 실천목표다.

좋은 시인이란 거창한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보편적 상식을 벗어나지 않은 선한 사람을 말한다.

겉멋에 빠져서 말을 낭비하지 않는 선한 사람, 즉 낱말 하나하나가 적확(的確)하고 그 사람의 색깔이 묻어 있어서 공감을 주는 시를 쓰는 사람이다. 말은 쉽지만 그런 시를 아무나 쓸 수는 없다.

그런데 우리가 얻고자 하는 좋은 것들의 대부분은 쉽게 얻어지지는 않는다.

좋은 시를 쓴다는 것은 좋은 시가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만큼 시를 읽어내는 눈이 있어야 하는 것이고 이 안목을 기르는데 얼마간의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시는 시인이 오래 고민한 끝에 조심스레 세상에 고백하는 이야기다. 그 고백이 독자에게 옮겨져서 시인과 같은 눈으로 세상을 둘러보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다.

그런데 독자나 시인이 자기 수준에 맞는 시만 선호한다면 그것이 나에게 위로를 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성장으로 이끌어 가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독자를 편안하게 만드는 시도 필요하지만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고 더욱 분발하도록 하는 시가 그래서 필요한 것이다.

시를 잘 쓰려고 하지 말라. 조급해지면 시가 딱딱해지고 어지려워진다. 시적 대상에 사랑을 주는 일이 먼저다.

자기가 시를 쓴다는 생각보다는 이야기를 쓴다는 마음으로 힘을 빼야 한다.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말이다.

길게 써놓은 이야기에서 가지를 쳐내어도 무슨 내용인지 짐작이 되게 할 만큼만 남기면 시가 된다.

시는 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고 독자가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여백을 남기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여승(女僧)은 합장(合掌)하고 절을 했다
   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
   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
   나는 불경(佛經)처럼 서러워졌다

   평안도 어늬 산 깊은 금덤판
   나는 파리한 여인(女人)에게서 옥수수를 샀다
   여인(女人)은 나어린 딸아이를 따리며 가을밤 같이 차게 울었다

   섶벌같이 나아간 지아비 기다려 십년(十年)이 갔다
   지아비는 돌아오지 않고
   어린 딸은 도라지꽃이 좋아 돌무덤으로 갔다

   산(山)꿩도 설게 울은 슬픈 날이 있었다
   산(山)절의 마당귀에 여인(女人)의 머리오리가 눈망울과 같이 떨어진
   날이 있었다

      - 백석, <여승(女僧)> 전문

* 가지취 : 취나물의 일종
* 금덤판 : 금점판의 토속말, 금을 캐는 산골마을에서 식료품이나 잡품을 파는 작은 좌판
* 섶벌 : 섭벌이라고도 하는데 토종벌을 말한다.
* 머리오리 : 낱낱의 머리카락

위 시는 시인 백석이 오늘에 와서도 수많은 연구 논문과 평론이 계속되는 이유를 어렴풋 보여주고 있다.

세상에 그의 이름이 알려진지 얼마 지나지 않은 짧은 기간에 이토록 우리 문학사를 뒤흔들 만큼 작품의 수월성을 인정받은 시인이 있었을까?

백석의 고향인 정주 토박이말로 잘 다듬어진 말씨와 줄글과 가락글 사이를 오가는 그의 시 작법은 남북한 문학사에서 누가 쉽게 흉내 낼 수 없는 경지에 오른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아직도 실증과 해석 등 그의 작품을 논할 많은 자리가 비어있다는 점이 경의롭기까지 하다.

<여승(女僧)> 또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와 함께 연정(戀情)의 감각이 살아있다.

이 시에 등장하는 비구니에 대한 첫 토막의 진술 "불경(佛經)처럼 서러워졌다"와 "여인(女人)은 가을 밤 같이 차게 울었다"등 직유를 동원하여 길어 올리는 연민(憐憫)의 시어들은 눈부시다 못해서 아리다.

여인의 기구한 삶은 마침내 그 자식을 돌무덤에 묻고야 말았고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머리를 깎고 절집에 기댈 수밖에 없는 고난스런 삶을 백석은 불경 위에 글자처럼 검게 떨어져 내렸을 머리카락과 눈망울을 서럽게 보았던 것이다.

말글로 이루어진 가장 높은 자리에 시가 있다. 쉬운 시나 나의 수준에 맞는 가벼운 시만 선호하면 백석 같은 시인을 만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오늘의 예시는 약간의 난이도가 있지만 이런 정도의 시를 자꾸 읽어봐야 시적 내공이 쌓이게 된다.

필자는 이 부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어려워도 시를 자꾸 읽어보는 사랑과 끈기가 있으면 시가 보인다.

- 이어산 <생명시 운동>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