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배 연구원, 지하수 수질관측망, 오염정도 파악 가능하도록 개선
박원배 연구원, 지하수 수질관측망, 오염정도 파악 가능하도록 개선
  • 현달환 기자
  • 승인 2018.09.10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부· 하부 지하수 구분해 78개 수질관측망 설치 필요
제주연구원,과학적 지하수 관리를 위한 구축방안 제시

박원배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 지하수의 수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지하수 수질관측망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정책연구보고서 ‘지하수 수질관측망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배경 수질 측정망 14개, 오염감시 수질측정망 64개 등 총 78개 지점에 수질관측망 설치 △지하수 수질측정망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했다.

박 선임은 “연구 배경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지하수의 수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1994년부터 도 전역을 대상으로 100여개소의 지하수 수질관측망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지하수 수질관측망은 대부분 공공 농업용 지하수 관정 등”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현장 여건에 맞춰 수질관측정이 자주 변경되고 있어 10년 이상 연속적인 측정 자료를 보유한 관측정이 없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제주 지하수는 복잡한 지질구조로 인하여 지하수층이 2~3개 이상의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마다 수질이 다르지만 현재의 수질관측망은 각각의 지하수층별로 지하수를 채수할 수 없어, 실제로 오염된 지하수층이 어느 층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구방법은 “현재 제주도에서 운영 중인 지하수 수질관측망과 환경부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 유럽과 미국의 수질측정망 운영 현황과 설치․운영 기준 등을 세밀하게 검토, 지하수 주 오염원인 화학비료, 가축분뇨, 지하침투식 개인하수처리시설에 의한 오염 영향 범위를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를 토대로 제주지역에 적합한 지하수수질관측망 구축 및 관리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또 개선방안으로는 “지하수 수질관측망은 100여년 이상 지하수 수질을 측정하고 있는 유럽의 EU 설치 기준인 대수층 유역면적 20~25㎢ 당 1개소 이상 분포 할 수 있도록 설치할 필요하다”며 “구체적인 방안을 보면, 제주도 전역을 16개 유역별로 나눠 고지대, 중산간 지역, 하류지역 각 3개소에(한경, 성산 유역은 200m 이상 지역이 넓지 않아 2개소만 설치) 수질 전용 관측정을 설치하며 1개소 당 상부 대수층(지하수가 부존하는 층)과 하부 대수층의 지하수를 별도로 채수할 있도록 2개의 관측정이 필요한만큼 총 46개소 78개의 관측정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와 같이 수질관측정을 설치하는 경우 해발 400m 이상 고지대 지역에 위치한 관측정은 오염되지 않은 자연 상태의 순순한 지하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며 “200~400m 지역은 주변에 오염원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오염 가능성 높은 지역의 지하수 수질을 감시할 수 있고 하류 지역은 현재 우리가 이용 중인 지하수의 수질 현황이나오염 진행 상황, 수질 개선상황 등을 파악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며서 “고지대 수질관측정의 경우에는 현재의 지하수위 관측망과 연계 운영하는 합리적인 운영방안도 제시하고 있다”며 “또한, 관측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지하수 수질관측망 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지하수관측망과 같이 자료를 공개하는 방안도 더불어 현재의 지하수 수질관측망은 자료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보조관측망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연구원은 “이와 같이 지하수 수질관측망을 구성하여 운영하게 되면 가축분뇨 유출과 같이 지하수 오염물질 무단배출로 인한 지하수 수질오염 원인과 오염경로 파악은 물론 오염된 지하수층까지 파악할 수 있는 등 보다 정밀한 수질분석이 가능하게 된다”며 “장기적으로는 수질 관측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됨에 따라 지역별로 발생하는 미세한 지하수 수질변화도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관측결과를 토대로 사전에 지하수 오염방지 조치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좀 더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지하수 수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