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허민자 도예전 ; 흙,제주 삶의 지평
[전시]허민자 도예전 ; 흙,제주 삶의 지평
  • 현달환 기자
  • 승인 2022.09.19 18: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09.06 ~ 10.23  제주도립미술관 2층 전시실

허민자는 1971년 제주에 정착한 후 제주의 풍토에 매료되어 그 특성을 서서히 도예작품에 접목하여 1982년 부터는 집약적으로 제주를 담아내고 있다. 

제주의 자연환경, 향토문화, 신앙세계를 담은 작품세계를 도립미술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제주작가마씀-흙,제주 삶의 지평>이란 주제로 작품의 특징에 따라 4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전시한다.

첫 번째 공간은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으로, 물레작업과 장작소성 방식으로 전통을 계승한 도자기로 구성하였다. <돌담문 백자통병>(1977), <나무문 투각백자등>(1979), <구름문 백자호>(1979), <면각 백자주병>(1979), <구름문 철화백자호>(1981), <진사유 병>(1981) 등 전통 도자기의 형태에 현대미를 입힌 작품들을 선보인다.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1977년부터 1981년 사이의 작품

작품의 특징이나 기법과 재료 설명

백자토로 물레성형한 후 양각, 면각, 선각, 투각 기법으로 장식하여 전통 도자기에 현대적 디자인을 부여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철사, 청화 안료를 이용해 나무, 구름, 단청 등의 문양을 그려 넣거나 진사유를 시유해서 장작가마에서만의 독특한 색감을 발색시켰다.

두 번째 공간은 1983년도 일본 경도 시립대학에서 작업한 제주의 바다와 팽나무를 주제로 한 도등시리즈와 귀국 후 제주 자연의 아름다움을 유약 분무, 연리문기법, 상감기법 등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이다. 도자기에 유약으로 제주의 풍광을 담은 <산>(1984), <오름>(1986), <한라산-연작>(1988~1990)등의 작품과 <주상절리가 보이는 풍경>(2010), <오름이 보이는 벌판>(2016), <화북포구>(2016), <우도포구)(2016), <신흥포구>(2016), <성산일출봉을 바라보며>(2020) 등의 제주의 풍경을 도판화(陶版畫)로 제작한 작품들도 함께 선보인다.

1980년대
1980년대

 작품의 특징이나 기법과 재료, 첫 번째 섹션과의 차이

한라산의 운무와 오버랩되는 오름을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유약들의 특성을 이용한 분무시유로 작업하였으며, 산야에 흔들리는 억새와 오름의 모습을 접목시키기 위해 청토와 백토를 연리문으로 연결한 후 상감기법으로 흔들리는 억새의 모습들을 표현하였다.

대부분의 도판작업은 제주토, 흑토와 같은 저화도의 점토에 상감백토를 입히고, 도자안료로 채색한 후 날카로운 칼로 긁어가며 형상들을 표현하였다.

세 번째 공간은 제주 자연과 지질을 상징화 한 조형 작품으로 구성한 공간이다. 제주옹기의 소중함과 가치 조명을 위해 제주점토로 만든 <흙속에 묻혀가는 옹기>(1993), <세월속에 묻힌 허벅>(1995)과 제주의 자연과 지질을 상징적을 표현한 <岩 - 연작>(1991~2000) 도등(陶燈) 작품, 현무암 질감을 조형적으로 표현한 <기원>(1996), <돌 위에 핀 꽃>(2015), <주상절리 화병>(2020) 등을 만나볼 수 있다.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작품의 특징이나 기법과 재료, 두번째 섹션과의 차이

화산섬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에 눈을 돌린 시기로서 현무암이나 절벽, 주상절리의 형상을 단순화 시키거나 조형화한 작업이다. 특히 현무암 기공의 특성에 착안하여 그 기공을 통해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한 도등작업과 현무암의 형태를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환시키거나 쌓아올려 부쳐가며 조형화한 작업들이 많다.

네 번째 공간은 다공질의 제주 현무암 질감과 형상을 담아 인체와 접목한 작품으로 구성한 공간이다. <화해와 용서>(1996), <하나되어>(1996), <기다림>(1996), <가족>(1997), <사랑>(1997) 등 돌 인체 조형 작품들과, 꽃으로 피어나리(2005), <함께하는 여정>(2005), <하나되게 하소서>(2005), <화해>(2007) 등의 사랑과 평화와 화합을 기원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2000년 대
 2000년 대
2000년대
2000년대

작품의 특징이나 기법과 재료, 첫 번째 섹션과의 차이

현무암을 자르거나 이어 붙여 인체의 형상으로 조형화한 작업이 주를 이루며, 그 안에 가족을 비롯한 인간들의 인연, 화해, 사랑의 메시지를 담았다.

점차로 종교적인 작품들로 전환해 가는 과정들을 볼 수 있으며, 유약은 주제에 맞게 따듯한 발색의 시노유를 사용하거나 종교적인 성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 푸른색의 코발트유와 동매트유를 주로 사용하였다.

◆허 민 자 프로필
 - 개인전 20회
 - 한국현대도예 30년전
 - 서울 현대도예 비엔날레
 - 한국현대도자전-세계도자기 EXPO
 - 1995청주국제공예 비엔날레
 - 한국공예 100인초대전
현) 제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명예교수
    심헌갤러리 관장
    주소: 아란14길 3번지(아라동)
    전화: 064-702-1003
    휴대폰: 010-3690-2651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