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응교 칼럼](121)귀이천목(貴耳賤目)
[유응교 칼럼](121)귀이천목(貴耳賤目)
  • 현달환 기자
  • 승인 2024.09.14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인, 시조시인
전북대 명예교수
한국예술문화 대상, 해양문학상, 전북문학상, 전북 아동문학상, 소년 해양문학상, 새전북 문학상, 디카에세이상 첫 수상자

제121장

귀이천목(貴耳賤目)

유응교 시인
유응교 시인

듣는 귀가 능력이고 행복이다
 
삼성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의 아들 이맹희, 이창희, 이건희 3형제에 대한 일화입니다. 

병석에 누운 이병철 회장에게 기자가 질문했습니다. 
“왜 3남인 이건희 회장을 후계자로 지명 하셨나요?” 

기자의 질문에 이병철 회장은 짧게 대답했습니다. 

“건희는 <듣는 귀>가 있어서!” 

삼남인 이건희 회장이 장남과 차남을 제치고 삼성의 후계자가 된 이유가 그 것 한 가지 뿐은 아니겠지만 남의 말을 들을 줄 아는 능력이 아버지 이병철 회장에게 인정받은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가정이나 학교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내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사람이 유능한 남편이고, 남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아내가 현명한 아내입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강의 시간에 선생님 말을 잘 듣습니다.
 
배우자의 말을 잘 듣는 것은 문제와 갈등을 풀어내는 능력을 배양하는 필수 과정입니다. 

평화로운 가정, 행복한 가정,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위한 소통은 듣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는 것보다 상대가 하는 말을 끝까지 듣는 것이 진정한 대화의 능력이고 삶의 기술입니다. 

하나님이 귀를 두 개 만드시고 입을 하나 만드신 이유도 두 배로 듣고 절 반 만 말하라는 뜻이라고 여깁니다. 

공자(孔子)는 "말하는 데 3년 걸리지만, 듣는 법을 터득한데는 60년 걸린다"고 하였습니다.

'경청(傾聽)' 이라는 책이 오랜 기간 동안 베스트셀러가 된 것만 봐도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답이 좀 늦고 진행이 빠르지 못해도 배우자와 열린 마음으로 천천히 다 듣고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가면 가정은 평화롭고 행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랑스 작가 '장자크 상페'는 자신의 책 ‘뉴욕 스케치’에서 뉴요커들의 긍정적인 말버릇을 관찰했습니다. 

그들은 빤한 얘기인데도 습관처럼 상대의 말꼬리에 감탄사(!)를 붙이고, 물음표(?)를 달아줍니다. 이는 '내 말에 관심을 갖는다'는 표시로 받아들여지고, 서로의 삶과 이야기를 격려해주는 말의 효과를 높입니다.

이를테면, 누가 “이번에 터키를 다녀왔어요. 너무 좋았어요."라고 말합니다. 

그러자 옆에서 “좋은 곳이죠. 나는 두 번 가봤어요.” 이렇게 말을 받으면 일단 주춤하게 됩니다. 

이럴 때 뉴요커들은 자기 경험을 내세우지 않고 “정말요? 어머, 좋았겠다! 일정은 어땠어요?” 

말머리를 계속 상대에게 돌려줍니다. 얼쑤 같은 추임새로 상대를 신나게 해주는, 뉴요커의 말 습관이 좋아 보이는 이유입니다. 

파격적인 진급을 하고 현지에 부임한 이순신(李舜臣)은 당시 경상 좌수사 박홍, 경상 우수영 원균, 전라 우수사 이억기, 그 울타리에 전라 좌수영 절도사로 왔다.

예나 지금이나 군대 조직에서 파격적인 계급장을 달고 내려온 장수를 보고 순순히 인정하고 가만 있었을리는 없는 것이다.

1597년(정유년) 2월 ​원균의 모함으로 이순신은 한산통제영에서 체포된다.

한양으로 압송되어 국형장이 열리고 선조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문무백관 / 200명 모두가 "이순신은 역적이오니 죽여야  마땅하옵니다."라고 외친다.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읍조 하며 임금(선조도 속으로는 동조함)을 압박 하고 있으니 이순신을 발탁해 주고 6계급 파격 진급에 힘을 써준 유성룡까지도 "공(公)은 공(公)이요, 사(私)는 사(私)라고 하며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는 문무백관들의 의견에 반대를 하지 못한다.

당시 이순신의 누명 상황이 어떠한지  미루어 짐작이 간다.

이틀이 걸려도 이순신 형 집행을 못하고 있었던 이유는 당시 영의정(領議政) 겸 도체찰사(都體察使) 국가비상사태 직무 총사령관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1547~1634)이 임금의 어명으로 전시 상태의 모든 권한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전시상태에서는 임금과 문무 백관들이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 외쳐도 이원익의 승락 없이는 선조 임금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원익(李元翼)은 거듭되는 선조의 형 집행 재촉에 청사에 길이 남는 그 유명한 명 대사로 고한다.

"전하께서 전시에 신을 폐하지 못하시는 것처럼 신 또한 전쟁중에  삼도수군 통제사인 이순신을 해임 하지 못하옵니다."

이원익의 이 말에 선조도 체념을 하고 이틀이나 걸린 이순신 '국형장'에서 문무백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도체찰사가 그리 말을 하니 이순신이 죄가 없는가 보구나.!"

오직 한사람의 곧고 바른 판단과 집념으로 199명의 고집을 꺽었다.

드디어 이순신은 사형을 면하게 된다. 

당시 문무백관 199명 : 1 이원익 한 사람만이 반대를 하여 이순신을 살려 낸 것이다.​

자신을 낮추고 오직 나라와 백성만 떠 받든 공복, 그가 있으면 온갖 사물이 제 자리를 잡게 되는 소박하고 비범한 조선의 대표적 청백리 초가집에 살았던 '조선의 명재상 오리 이원익 대감.'

세월은 400여 년이 지나고 시대만 수없이 변했을 뿐 정치는 변한게  없다. 

아무리 힘들어도 마음을 알아주는 한사람만 있으면 외롭지 않은것이  대장부의 자존심이요, 명예이다. 

더구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전쟁통에는 더할것이다.

온갖 시기질투와 모함으로 사형 직전까지 간 만고의 충신을 알아보고 199 : 1로 임금의 불신으로 부터 믿어준 탁월한 선견지명(先見之明)의 굳은 신념이 도탄에 빠진 나라와 백성들의 생명과 조선 사직을 지켜낸 ​오리 이원익 대감이야 말로 만고에 길이 빛나는 충신이며, ​나라의 보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사람이 나라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 한 명 이원익이 나라를 구했던 것이다. 

한 사람! 
올바른 한 사람이 중요하다. 생각해 본다면 이순신 장군은 행복한 분이셨다.

 
​자신의 목숨을 두려워 하지않고 불의에 뜻을 굽히지 않았던 오리 대감과 같은 분이 시대에 함께 있었으니 말이다.

그는 87세로 눈을 감으시면서 모든 자식들을 불러 놓고!

"나를 위해 부고도 알리지 마라. 사후에 어떠한 사당이나 칭송된 일이나 비석도 세우지 마라"
 
그러기에 오리 정승은 우리에게 잊혀져 있었는지도 모른다.

세월이 400여 년이 지났지만 오늘의 이 시대에 이원익 대감 같은 '정정당당(正正堂堂 공정하고 떳떳하다)했던 청백리(淸白吏)는 어디에 있는지 묻고 싶다.
* 청백리(淸白吏) : 직역하면 맑고 흰(淸白) 것 같은 벼슬아치를 의미한다. '청렴결백한 관리'의 줄임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생각나게 할 뿐이다.

지금 이 시대에 정승(政丞) 이원익(李元翼) 같은 정정당당(正正堂堂)했던 분이 계시면 좋겠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 좋은 글 중에서

시인 유응교 '그리운 것이 아름답다'라는 시집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해학과 웃음, 그리움을 선사하는 전북대 건축학과 유응교 교수가 뉴스N제주에 그의 시조를 소개하는 '유응교 칼럼'을 연재합니다.

그는 둘째 아들(저자 유종안)이 쓴 '대한민국 브랜드 파워'라는 책을 보고 ▲태극기▲무궁화▲한글▲한복▲한식▲한옥▲한지▲국악(판소리)▲아리랑▲인쇄술(직지심체요절)▲조선왕조실록▲사물놀이▲전통놀이▲K-Pop▲도자기(달항아리)▲팔만대장경▲거북선▲태권도▲한국의 시조▲한국의 온돌-아자방▲한국의 막걸리▲한국의 풍류-포석정▲한국의 불사건축-석굴암▲한국화 김홍도의 씨름 등 총 24개의 항목에 대해 동시조와 시조로 노래해 대단한 아이디어 창조자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공학박사 유응교 시인은 지난해 11월 청와대에서 열린 사)한국해양아동문화연구소 8주년 창립기념식에서  디카에세이상 시상위원회(위원장 장영주)와 뉴스N제주(대표 현달환)가 협력약정서를 맺어 가진 우리나라 최초로 공동 시상하는 디카에세이상에 첫 수상자로 얼굴을 알리는 영광도 가졌다.

유응교 시인은 전남 구례 ‘운조루’에서 출생해 1996년 「문학21」 시 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소년문학』 동시 부문 등단,

칼럼집 <전북의 꿈과 이상>, 유머집 <애들아! 웃고 살자> 외 3권, 시집 〈그리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외 25권, 동시집 <까만 콩 삼 형제>외 1권, 동시조집 〈기러기 삼 형제〉외 3권 등을 펴냈다.

한국예술문화 대상, 해양문학상, 전북문학상, 전북 아동문학상, 소년 해양문학상, 새전북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전북대 공대 건축과 교수, 전북대 학생처장, 미국M.I.T 연구교수, 한국소리문화의전당 건축 추진위원장, 전북예총 부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전북대 명예교수다.

유응교 교수님의 해학과 웃음, 감동을 주는 시조를 앞으로 매주마다 뉴스N제주를 통해 독자와의 만남을 가질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응원과 필독 바랍니다[편집자 주]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